Ngrok 설치 : 외부에서 내 로컬 네트워크로 접속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그램
1. https://ngrok.com/ 가입, OS에 맞게 intall
2. Window에서 파일 실행
3. cmd로 ngrock.exe 파일이 있는 폴더에 접속
4. forwading ( https://dashboard.ngrok.com/get-started/setup/windows )
4-1) token 설정
ngrok config add-authtoken {{토큰값}}
- Windows: "%HOMEPATH%\AppData\Local\ngrok\ngrok.yml"에 파일이 생성됨
4-2) 포워딩
ngrok http http://localhost:8080
- 결과에서 포워딩 된
https://91a8-1111-e11-11d1-446d-3cd7-f2fa-3b08-75e3.ngrok-free.app 주소로 외부에서 내 로컬로 접속 가능
ngrok (Ctrl+C to quit)
🤯 Try the ngrok Kubernetes Ingress Controller: https://ngrok.com/s/k8s-ingress
Session Status online
Account {{계정정보}} (Plan: Free)
Version 3.8.0
Region Japan (jp)
Latency 36ms
Web Interface http://127.0.0.1:4040
Forwarding https://91a8-1111-e11-11d1-446d-3cd7-f2fa-3b08-75e3.ngrok-free.app -> http://localhost
Connections ttl opn rt1 rt5 p50 p90
0 0 0.00 0.00 0.00 0.00
5. 다시 사용할 때는 이미 ngrock.yml 설정파일이 있으므로 포워딩 명령어로 실행만 해주면 된다.
ngrock http {{ 주소}}
참고
'개발환경, 도구 > 유틸' 카테고리의 다른 글
ruby asciidoc-pdf 사용 (spring rest docs, intellij asciiDoc plugin 한글 네모로 깨짐) (0) | 2023.11.06 |
---|---|
c 드라이브 부족으로 d 드라이브에서 가져오기 (0) | 2023.09.07 |
윈도우 cmd 에서 포트에서 사용중인 프로세스 번호를 확인하여 중단 (0) | 2023.08.03 |
정규식 (0) | 2022.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