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study/F-JSP 4

jsp에서 yml, properties 파일 가져오기

출처 : Jsp에서 yml, properties 사용하기 (tistory.com) jsp에서 springboot에서 사용하는 설정파일 (application.yml, application.properties)의 값을 바로 가지고 올 수 있다. application.properties (or application.yml) 파일은 다음과 같이 정의가 되어 있는 상황이다. oing.daddy=cool guy 이 값을 jsp에서 바로 가지고 와서 사용하고 싶다. 가지고 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environment.getProperty 를 통해 가져오는 방법 ${oingDaddy} 위와 같이 spring tag를 선언해주고 spring:eval 을 통해서 값을 가지고 올 수 있다. @environmen..

Springboot + JSP 프로젝트 jar로 배포하는 방법

출처 : Springboot + JSP 프로젝트 jar로 배포하는 방법 (tistory.com) Template Engine으로 JSP를 사용한 springboot 프로젝트가 있다. springboot에서 공식으로 지원을 하지 않는 Template Engine이다보니 JSP를 사용할때 여러가지 불편한 점들이 있다. 하지만 SI에서는 쉽게 기술을 휙휙 바꾸기 힘든 점들이 많다. SI는 참 힘들다... Springboot + JSP 프로젝트가 여러개 있고 이것을 각각 띄워서 사용을 할수도 있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개의 프로젝트가 main project에 dependency 형태로 붙을수도 있어야 한다. dependency 형태로 붙으려면 war가 아닌 jar 형식의 파일로 빌드가 되어야 한다. 이 방..

JSP CharacterSet정리

: 클라이언트(부라우져)가 어떤 CharacterSet으로 받을지 -> 웹 브라우져에서 한글 깨짐 방지 : JSP페이지가 어떤 캐릭터셋으로 작성됐는지 : HTML 페이지가 어떤 케릭너셋으로 작성됐는지 # JSP파일은 서블릿으로 변환되어 읽으므로 HTML 케릭터셋보다 JSP케릭터셋을 더 우선시 함. HTML form 태그 post 메서드 방식은 받는 곳에서 request.setCharacterEncoding("UTF-8");해줘야 한글 안 깨짐 HTML form 태그 get 메서드 방식은 URL을 통해( UTF-8 세팅이 되어있는 톰캣을 거침) 캐릭터 셋 처리를 하기 때문에 톰캣이 세팅된 대로 처리된다. request.setCharacterEncoding("UTF-8"); 파라메터(인자)로 전송되는 데이터..